top of page

Protective effects of Aged garlic extracts on hypercholesterolemia

현대 사회는 삶의 질이 향상되고 세계화가 거듭됨에 따라 서구화 식문화가 발달되어졌고, 각종 스트레스가 높아지고 있어 심혈관 질환과 같은 현대 건강 문제가 점차 주목받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높은 사망원인중 하나가 뇌졸중, 심근경색증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시점에서 혈관과 혈액 등에 대한 관심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질환의 주된 원인중 하나가 고콜레스테롤혈증에 있으며, 마늘 추출물이 혈장 콜레스테롤과 지질수준을 낮추는 효능이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1). 또한 콜레스테롤을 합성하는 과정을 매개하는 중간 효소인 HMG-CoA reductase의 합성량이 간에서 현저히 줄어들었다는 보고가 있었으며 이러한 효과의 중심에는 S-allylcysteine과 같은 마늘의 유기 황 화합물이라는 보고가 있었다(2).

숙성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흑마늘은 일반 마늘에 비해 더 많고 다양한 황 화합물이 있기 때문에, 일반 마늘의 경우보다 더 뛰어난 고콜레스테롤혈증 저해효과가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콜레스테롤은 보통 장에서 흡수되고, 혈관을 통해 이동하면서 주변 세포에게 콜레스테롤을 전달한다. 그 후 남은 콜레스테롤은 간으로 보내지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3-5). 혹은 대사과정을 통해서 생성된 Acetyl coA로부터 합성되어 이동하기도 한다. 그 후 과도한 콜레스테롤은 담즙산 형태로 전환되어 다시 장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을 거친다.

현재 연구의 목표는 흑마늘 식이를 한 rat으로부터 분변과 혈액 내 콜레스테롤 함량을 비교하고 간과 장, 지방조직으로부터 콜레스테롤 흡수와 운반, 배출에 관련된 모든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는 데에 있다.

1. Yu-Yan Yeh, and Lijuan Liu (2001),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Garlic Extracts and Organosulfur Compounds: Human and Animal Studies, the journal of nutrition, 131(3): 989S-993S

2. Lijuan Liu and Yu-Yan Yeh (2001), S-Alk(en)yl Cysteines of Garlic Inhibit Cholesterol Synthesis by Deactivating HMG-CoA Reductase in Cultured Rat Hepatocytes, the journal of nutrition, 132(6): 1129-1134

3. Scott W. Altmann, Harry R. Davis, Li-ji Zhu, Xiaorui Yao, Lizbeth M. Hoos, Glen Tetzloff, Sai Prasad N. Iyer, Maureen Maguire, Andrei Golovko, Ming Zeng, Luquan Wang, Nicholas Murgolo, Michael P. Graziano (2004), Niemann-Pick C1 Like 1 Protein Is Critical for Intestinal Cholesterol Absorption, Science, 303: 1201-1204

4. Ephraim Sehayek, Stanley L. Hazen (2008), Cholesterol Absorption From the Intestine Is a Major Determinant of Reverse Cholesterol Transport From Peripheral Tissue Macrophages, Arteriosclerosis, Thrombosis, and Vascular Biology, 28: 1296-1297

5. W. M. Pandak, C. Schwarz, P. B. Hylemon, D. Mallonee, K. Valerie, D. M. Heuman, R. A. Fisher, Kaye Redford, Z. R. Vlahcevic (2001), Effects of CYP7A1 overexpression on cholesterol and bile acid homeostasis,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 Gastrointestinal and Liver Physiology, 281(4): G878-G889


bottom of page